![](/upload/naver_se/2025-01/677f8c2d27137.png)
[미디어태희]
청주지검이 오송참사와 관련해 김영환 충북지사를 불기소함에 따라 일단 법적 굴레를 벗은 김 지사의 행보가 거침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범석 청주시장에 대한 기소방침이 알려진 지난 9일 김 지사 측근들이 표정을 관리하는 모습은 역력했습니다.
한 측근은 “이 시장은 (처지가)안됐지만, 김 지사가 제대로 일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일하는 밥퍼 중심 대공세 펼칠 듯
일하는 밥퍼 사업장을 방문한 김영환 지사./충북도 제공
앞으로 김 지사의 행보는 거침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선 새해들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일하는 밥퍼 사업, 문화의 바다 사업, 영상자서전, 오송역 선하사업 등에 더욱 매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인적쇄신도 한층 가속화할 것입니다.
황현구 정무특보 후임 인선, 충북연구원장 및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선임 등을 통해 김영환 2기 체제를 상반기 중에 안착시키려 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주재구·김진덕 핵심라인 등극
·주재구 충북뉴스 회장
이런 가운데 김 지사 2기 체제의 핵심인사로 주재구 충북뉴스 회장과 김진덕 충북RISE센터장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주 회장은 일하는 밥퍼 사업 뿐만 아니라 김 지사의 각종 사업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https://www.taehee.co.kr/upload/naver_se/2025-01/677f8940deea3.jpg)
김진덕 충북RISE 센터장
김 센터장은 연간 1400억원이 넘는 RISE사업을 주관하면서 ‘실세 중의 실세’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김 지사가 임명한 산하기관장들 가운데 김 센터장의 입김이 작용한 사람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충북도 전 국장 출신인 A씨와 B씨가 각각 충북개발공사와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의 요직을 차지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합니다.
이범석 사법 리스크에 김수민 조기 출격설도
김수민 정무부지사
이범석 청주시장이 오송참사와 관련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혐의로 기소된 것이 충북도 정무라인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당장 김수민 정무부지사의 거취가 주목됩니다.
이 시장의 '사법리스크'가 지난 해 9월 취임했으나 별다른 역할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김 부지사를 조기사퇴시킬 명분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정무특보 내정설이 나오고 있는 손인석 전 JC중앙회장이 조기에 또는 정무부지사로 직행할 수 있습니다.
김 지사 ‘재선가도’에 복병 ‘첩첩산중’
김학관 충북경찰청장
그러나 김 지사의 재선가도에는 너무나 많은 복병과 난관이 가로막고 있습니다.
우선 그의 마구잡이식 인사의 여파로 수많은 ‘집토끼’가 '산토끼'화 되었다는 것입니다.
충북도 산하기관에서 중도사퇴하거나 밀려난 사람들 가운데 상당수가 김 지사에 대해 큰 반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특정 산하기관장이 비리 혐의로 사정당국에 포착된 것 또한 앞으로 어디로 불똥이 튈지 알 수 없습니다.
현재 내사중인 모 산하기관장 사건이 언제 정식수사로 전환될지 주목되고, 그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관심거리입니다.
본인 처신부터 잘해야
김지사 소유 서울 북촌한옥
더욱이 청주지역 사업가에게 30억원을 빌려 이해충돌 논란을 불러오는 등 김 지사의 '내로남불'과 관련된 의혹들이 쌓여 있는 상태여서, 지금이라도 주변정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심각한 위기에 봉착할 수 있습니다.
서울 북촌한옥 매각을 둘러싼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쩌다 못난이 치약 판매강요 논란, 일하는 밥퍼 사업 선거법 위반 가능성, 청주 우리문고 건물 고가매입 의혹 등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하는 밥퍼 사업은 도내 장애인등 소외계층의 일감을 빼앗아 노인층에게 주는 사업이라는 비난이 커지고 있습니다.
참가자들에게 나눠주는 상품권을 대기 위한 기부금 모금과 배분 등에 대해서도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MBC충북 화면 캡쳐
배우자인 전은주씨의 도정개입설도 잦아들지 않고 있으며, ‘예스맨’만 중용한다는 지적 또한 김 지사의 앞날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는 '12.3 내란'사태에 대한 그의 처신입니다.
‘12.3 내란사태’에서 보여준 김 지사의 오락가락한 태도로 이제는 보수세력에서도 김 지사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다, 경우에 따라 사법리스크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김영환 지사
여기에 오송참사를 둘러싼 법적 책임추궁에서 완전하게 벗어나지 못한 것도 김 지사의 행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의원은 "사고 책임은 재난 대응과 위험을 관리하는 최고 책임자에게 물어야 한다. 그럼에도 최고 책임자는 법적 심판을 피했고, 유가족들은 여전히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이것은 정의도, 상식도 아니다"라면서 "오송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