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소셜미디어 태희가 촬영한 단재교육연수원 전경
[소셜미디어태희=안태희]
김상열 단재교육연수원장의 ‘연수원 강사 블랙리스트’ 의혹 폭로사건에 대해 도교육청 감사관실이 특정감사에 나섰다.
김 원장은 지난 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어제 도교육청 모 과로부터 연수 강사에 대한 의견이 장학사를 통해 USB로 전달됐다”며 “내용은 작년에 우리 연수원 강사 1200명(중복 포함) 중에서 몇백 명 정도의 강사를 연수에서 배제해달라는 것이었다. 블랙리스트가 이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폭로했다.
청주교육대 총장도 포함돼
김 원장의 주장대로 수백명이 ‘강사배제 명단’, 이른바 ‘블랙리스트’에 포함됐다면 그 명단 자체가 ‘핵폭탄급’이 될 전망이다. 다만 김 원장은 6일 도교육청에 제출한 명단은 800명이고, 배제명단에는 300명이 포함돼 있다고 수정했다.
이번에 전달됐다는 의혹을 사고 있는 블랙리스트는 단재교육연수원 강사 800명 중 ‘빨간색’으로 표시된 수백명이며, 이들을 강사에서 제외하라고 도교육청 관계자가 단재교육연수원장이 아닌 담당자에게 직접 요구했다는게 김 원장 폭로의 핵심이다.
청주교대 전경
특히 김 원장이 페이스북에서 공개한 블랙리스트 대상자 중에는 현직 청주교육대 총장과 충북 유일의 환경관련 장학사가 포함돼 있다.
A 총장은 윤건영 교육감과 함께 교수로 재직해왔으며, 윤 교육감이 총장을 그만둔 해인 2020년부터 총장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A 총장은 <소셜미디어태희>와의 통화에서 "이 문제에 대해 딱히 코멘트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B 장학사는 충북에서 유일한 환경관련 연구사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관련 연수에 꼭 필요한 강사이지만, 강사제외 대상에 올랐다.
김 원장측은 이들을 포함한 강사들이 김병우 전 교육감과 친밀했다는 이유 등으로 배제된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연수원 강사들의 상당수가 현직 교사나 장학사 등 교원이라는 점에서 교육청이 그동안 교직원의 동태나 성향을 감시했거나 평가한 것 아니냐는 반발을 부를 가능성이 크다.
이름 빨간색으로 표시, USB로 전달
김 원장의 폭로에 따라 누가 이 블랙리스트를 작성했으며, 왜 작성됐는지, 누가 전달했는지에 대한 의혹도 커지고 있다.
수백명을 배제할 대상으로 표시할 정도라면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됐을 것으로 보이며, 이 과정에서 어느 부서의 누가 주도했는지 밝혀져야할 대목이다.
김상열 단재교육연수원장
김병우 전 교육감의 최측근이자 단재교육연수원의 책임자가 버젓이 근무중인 상태에서 부하직원에게 블랙리스트를 전달된 이유도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블랙리스트 명단이 USB로 전달됐다는 점도 주목을 받고 있다.
통상적인 방법인 공문이나 이메일로 보내지 않고, 직접 도교육청 관계자가 단재교육연수원 관계자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만큼 블랙리스트를 은폐하려는 시도가 깔린 것일 수 있다.
감사관실 특정감사 개시 결정
충북의 최대 교원연수기관인 단재교육연수원 블랙리스트 의혹사건으로 파문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단 충북교육청 감사관실이 특정감사에 나서기로 했기 때문에 그 결과가 주목된다.

김 원장의 5일 페이스북 글 전문
김 원장도 이번 사건에 대해 절대로 묵과할 수 없다는 의지를 표명했기 때문에 앞으로 이 사태가 걷잡을 수없이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김 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32년 6개월간 내 청춘을 바친 충북교육이 올바로 가도록 하기 위해서 나는 이 글을 올린다. 명단이 궁금하면 법적 절차를 밟아야 할 것 같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원장은 6일 다시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폭로이유를 밝혔다.
김 원장의 6일 페이스북 글 일부
김 원장은 "조직체계상 내 지휘를 받아야 할 우리 연수원의 직원이 나에게 어떤 협의나 사전 보고없이 인수위나 도교육청 특정 부서를 오가며 별도의 지시를 받거나 연수원 내부에 대해 보고하는 행위, 교육감의 정책에 맞는 좋은 강사를 추천해서 연수원에서 적극 활용해달라는 방식이 아닌 이 사람을 배제하라는 '블랙리스트'를 원장 몰래 담당자에게 보내는 악의적인 방식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충북교육청측은 블랙리스트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나섰다.
뉴스1은 ‘김 원장의 글에 언급된 충북교육청 관련 부서의 한 관계자는 "김 원장이 주장하는 문건을 전달한 적이 없다. 김 원장의 글 내용도 알지 못한다"라고 강하게 반박했다’고 보도했다.
<소셜미디어태희>는 6일 두 차례에 걸쳐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했다고 지목된 도교육청 담당과에 전화했으나, 담당자가 회의 참석중이어서 통화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