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노화욱 한베평화재단건립추진위원회 위원장 모습./뉴시스
일본의 한국에 대한 반도체소재 수출규제에 대해 지역의 반도체 전문가들이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노화욱 전 충북도경제부지사(반도체산업구조선진화연구회 회장·극동대 석좌교수)는 최근 머니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기술은 수백가지의 소재, 장비, 수천가지의 부품이 협업을 통해 형성된다"며 "칩메이커가 새로운 신기술과 제품을 만들어내면 그 공정에 들어가는 장비·소재·부품 관련 수백개 회사들이 그것에 맞춰 함께 신기술을 개발해야 하는데 (칩메이커가) 문을 잘 열어주지 않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머니투데이는 노 전 부지사가 "극단적인 말일 수 있지만 지금 이 사태로 타격을 입는다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게 자업자득이다. 30년 동안 일본 회사에 90% 의존한다는 게 말이 되나"라고 꼬집었다고 보도했다.
그는 "이번엔 10년 전과는 다를 거라고 생각한다"며 "전제조건은 삼성, SK하이닉스의 경영철학의 변화"라고 단언했다. 중소기업을 도와준다는 시혜적 접근은 옳지 않고, 대외변수로 인한 위험에서 기업의 생존을 위해 산업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단 조언이다.
노 회장은 중소·중견 소재·장비 업체들이 반도체 프로세스 개발에 공동으로 이용할수 있는 '종합연구소' 설립을 제안했다. 그는 "신제품 개발을 위해 라인을 세우고 테스트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든다"며 "정부가 테스트베드를 만들거나 두 대기업의 연구용 팹에서 공동연구를 하도록 세제를 지원해주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 전 경제부지사는 1977년 현대중공업에 입사한 후 1984년부터 2005년까지 현대전자와 하이닉스에서 일했다. 이후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충북도 경제부지사를 지냈으며 2009년부터 극동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상용 한국폴리텍대학 청주캠퍼스 교수이에 앞서 김상용 한국폴리텍대학 청주캠퍼스 교수(반도체시스템과)도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와 대기업의 협력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 교수는 지난 18일 YTN라디오 ‘생생경제’에 출연해 “중견기업체들, 그리고 협력업체들이 아주 기술이 발달해 있고, 그것으로 해서 많은 국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다만 대기업이 중소기업, 협력업체들의 기술개발에 대한 원천기술이나 또 지적 재산권과 같은 것들을 인정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하이닉스반도체 출신의 반도체 전문가이며 현재 한국폴리텍대학 청주캠퍼스의 산학협력처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