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톡스사의 불법의혹을 보도한 10일 KBS 9시 뉴스의 한 장면.
충북이 바이오헬스 산업을 대대적으로 육성하려는 가운데 청주와 충주에 있는 대표적인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잇따라 초대형 악재에 휘말리고 있다.
KBS는 10일 ‘9시 뉴스’를 통해 청주 오창산업단지에 본사가 있는 메디톡스가 국내 보톡스 시장의 40%를 차지하는 메디톡신과 관련한 불법 시술 의혹, 생산 시설의 오염 의혹 등을 집중 보도했다.
메디톡스 ‘메디톡신’ 불법유통 보도
이날 KBS는 메디톡스가 메디톡신을 정식 허가받기 전 시중에 유통하고 불법 시술케한 사실이 KBS 취재결과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아직 안전성을 검증받기 전인 임상시험 단계에서 시중 병원에 뿌려 보톡스 시술을 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KBS는 또 ‘무균실 오염됐는데…알고도 서류 조작해 생산 강행’, ‘약효 미달 제품 몰래 폐기…일부는 빼돌려 수출까지’ 등의 연속보도를 통해 메디톡스의 문제점을 폭로했다.
보도에 앞서 식약처는 지난 2일 멸균작업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메디톡스 오창1공장에 대해 조사를 하기도 했다.
이밖에 메디톡스 전현직 임원은 스톡옵션을 이용한 명의신탁 혐의로 국세청의 조사를 받았다.
지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메디톡스에서 근무했던 전직원 A모씨는 최근 이 같은 혐의로 메디톡스 최고경영자 등을 고발했다.
전 직원 A씨가 최고경영자와 일부 임직원 간 체결한 스톡옵션 계약 체결 후 스톡옵션 행사 기간이 도래하면 그 중 50%를 현금화해 최고경영자에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회사가 부당행위를 했다고 고발했기 때문이다.
충주 코오롱생명과학 공장도 위기
메디톡스사 사태에 앞서 뒤바뀐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 케이주(이하 인보사)'가 허가 취소되면서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도 큰 위기에 직면했다.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 전경./충청타임즈 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9일자로 코오롱생명과학의 인보사에 대한 품목 허가 취소를 최종 결정했다.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에서 인보사 생산을 담당했던 직원들은 350명 정도이며, 현재 생산라인이 멈춰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코오롱생명과학 관계자는 “현재 관련 인력 임시 유급휴직을 포함한 다양한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면서 “궁극적으로 공장 재가동을 위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충북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에 차질우려
이처럼 도내의 유망한 바이오헬스기업들이 잇따라 큰 문제에 봉착하면서 충북의 바이오헬스산업에도 타격이 되지 않을까 관계자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5월 22일 청주 오송 CV센터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식'에 앞서 이시종(왼쪽) 충북도지사의 안내로 식물기반 바이오신약 단백질(항암제 원료) 생산 기업 전시관을 관람하고 있다. /뉴시스
충북은 지난 5월 오송C&V센터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2030 충북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이시종 지사는 이 자리에서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1조 5000억원) △바이오 미래 성장기반 조성(1조7000억원) △천연물·화장품 혁신 생태계 조성(1조 2000억원) △바이오헬스 국가산단 조성(3조 8000억원) △규제개혁 등 5대 육성전략, 120개 과제를 소개했다.
바이오헬스산업의 한 관계자는 “메디톡스나 코오롱생명과학의 대형악재는 신뢰성 문제에서부터 시작됐기 때문에 지역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에 악재가 될 것”이라면서 “이러다가 셀트리온 밖에 남지 않는 것 아니냐”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