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45억 날라갔지만, 김용국 지청장은 ‘특보’로 화려한 컴백

충북도 충주에코폴리스 청산절차 돌입...김 전 지청장 2월에 정무특보 발령
   
포토 | 입력: 2019-06-03 | 작성: admin@admin.co.kr 기자

 

 

      김용국 전 충북도경제자유구역청 충주지청장이 지난 2월 이시종지사로부터 정무특보 임명장을 받고 있다./충북도제공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충북도경제자유구역청. 45억원의 혈세만 날리고 최종적으로 철수한다.

 

그러나 충북도경제자유구역청 충주지청장을 맡았던 공무원은 도지사 정무특보로 복귀하는 등 이 사업에서 책임지는 사람은 없고 퇴직 후에 낙하산만 생겼다는 비아냥을 듣게 생겼다.

 

3일 뉴시스에 따르면 '충주 에코폴리스 지구 개발 특수목적법인 설립 및 출자 등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안'이 오는 10일 열리는 제373회 도의회 정례회에 상정됐다.

 

이 조례안이 도의회를 통과하면 사업 청산과 관련한 모든 절차가 완료된다.

 

충주에코폴리스사업은 오는 2020년까지 3864억원을 들여 자동차 전장부품과 신재생에너지, 물류·유통 등의 관련 산업을 집적화하는 프로젝트였다.

 

충북도는 20134월 충주 에코폴리스 지구 개발 업무를 전담하기 위해 당시 부이사관(3)을 지청장으로 모두 12명의 직원으로 충주지청을 구성했다. 충주지청은 충주시 중앙탑면 일원 2.3에 지정된 에코폴리스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사업은 난관에 부딪히며 좀처럼 진전하지 못했다. 결국 도는 지난 20174월 충주 에코폴리스 사업 포기를 선언했다. 무엇보다 기업 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다.

 

이후 같은 해 9월 개발사업 시행자 지정을 취소했다. 도의회와 충주시, 지역 주민 등의 반발이 거셌지만 도는 사업 청산에 속도를 내기 위해 후속 절차를 밟아왔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소속의 충주지청과 충주에코폴리스개발는 지난해 문을 닫았다.

 

충주지청의 경우 같은 해 9'충북경자구역청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 규칙안이 도의회를 통과하며 폐지됐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1월 말 출자기관 지정 해제를 고시했고, 도는 마지막으로 관련 조례 폐지에 나섰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지난 2015년부터 충주지청장을 맡으며 사업을 진두지휘했던 김용국 전 지청장은 아무일 없이 공무원 생활을 마쳤고, 올해 초에는 이시종 도지사 정무특별보좌관(별정 4)으로 영전했다.

 

김 전 지청장은 2016117일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실무단 이란 방문 결과 이란의 전통의학공동연구소 설립 추진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으나, 결국 이란의 오송 2조원 투자사업 또한 물거품이 됐다.

 

그런데 김 전 지청장은 정무특보로 임명된 당시 충청투데이와의 통화에서 "충북선철도 고속화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받는 등 도정에 꽃이 피고 있다""이시종 지사가 충북미래 100년 대계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