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충북도당이 주최한 충북의 노동현황과 노동조례를 통한 개선방안 정책콘서트가 28일 오후 2시 청주예술의 전당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경상권을 빼고 유독 충북만 생활임금제를 시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도입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최경천 충북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 노동위원장)은 28일 오후 2시 민주당 충북도당이 주최한 제6차 정책콘서트 ‘충북의 노동현황과 노동조례를 통한 개선방안’에서 생활임금제 도입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전국에서 생활임금제를 도입하지 않은 곳은 충북과 대구, 경북, 경남, 울산등 5곳이다. 충북만 제외하고는 모두 경상권 광역자치단체다.
생활임금제는 지난 1994년 미국 볼티모어시에서 처음 도입한 제도로 물가상승률과 가계소득.지출을 고려해 실제 생활이 가능한 최소 수준의 임금이다. 최저임금보다 20~30%높다.
이런 생활임금제는 현재 상용근로시간 전국 1위(183.2시간), 평균균 임금총액 전국 광역 8위(342만7000원), 근로여건만족도 전국 광역 12위(25.4%), 사망만인율 전국 4위(1.41) 등으로 충북지역 노동자들의 질적수준이 낮은데 대한 보완책으로 제기되고 있다.
생활임금제는 이미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12곳이 도입을 했으며, 100여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되고 있다.
최의원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노동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견인의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생활임금제 등 노동을 위한 각종 조례를 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또 근로시간 단축과 생산성을 위한 협치노력, 시민단체의 노동관련 모니터링 강화, 노동자 출신의 정치참여 확대, 충북도민행복센터 설치등을 제안했다.
민주당 충북도당 정책콘서트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이날 정책콘서트에는 최의원과 심재정 충북도일자리정책과장, 김용직 민주노총 충북지역본부 사무처장, 강병익 민주연구원 연구위원, 안태희 소셜미디어 태희 국장 등이 참석했다.
또 장선배 충북도의회 의장, 이숙애 충북도의회 교육위원장, 육미선 도의원, 이상정 도의원, 박문희 도의원, 연철흠 도의원 등 민주당 소속 지방의원들이 대거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